주식소식

스팩주 합병, 합병비율 계산

돈 걱정 없는 곰탱이 2021. 2. 23. 15:05
728x90

스팩(SPAC) 의미

요즘에 미국주식을 하시면서 가장 많이 듣는 것 중에 하나가 스팩 주 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스팩 주에 대해서 언급이 많은 것이며 이게 도대체 뭘 하는 곳일까요? 우선 스팩 주에 대해서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해당 주식은 오로지 기업의 인수라는 목적 하나만을 가지고 만들어진 회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인수합병하나만 보기 때문에 만약 인수합병이 안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주식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스팩주를 만들어서까지 합병해서 상장을 하는 이유가 뭔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자 여기서 아셔야 할 건 미국에서 직접적으로 상장을 하는 데는 시간도 시간이지만 조건도 까다롭고 성사시키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스팩 주와의 합병을 통해서 우회상장을 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스팩 주는 첫 번째로 가장 중요한 건 투자자들을 모으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야 합병을 하기 위한 자금이 마련되는 것이죠. 두 번째로는 합병을 할 기업을 찾아내야 합니다. 스팩주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 합병이 안되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입니다.

 

DA (Definitive Agreement)

여기까지 진행이 됐으면 이제 합병 확정과 투표를 해야 하는데 DA라는 것을 아는 분들은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DA는 Definitive Agreement의 약어로 말 그대로 합병을 확정적으로 합의했다는 정도로 알고 있으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되면 이제 합병은 확정된 것이기 때문에 추후에 정확한 합병 날짜 등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DA가 됐다고 무조건 좋은 소식이니까 매수해야지 하시면 안 됩니다. 해당 상태에서는 오를 수도 있지만 만약에 이미 기대치에 대해서 주가가 선 반영이 많이 되어있다면 오히려 하락할 가능성도 높고 설사 DA이후 올랐다고 하더라도 단기적인 상승 이후 다시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단적인 예로 CCIV와 함께 많은 관심을 받았던 ACTC의 경우 상승 후 다시 떨어지고 현재는 조금은 아래로 횡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정확하게 결과가 이럴 것이다 라고 할 수는 없지만 기업에 대해서 신중하게 자신이 생각하는 적정가를 적용해서 매수하시기 바랍니다.

 

합병비율 계산

자 이제 합병이 확정되었다면 스팩주와 합병비율을 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1 : 10의 비율로 합병을 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여기서 스팩주가 주가 1000원에 주식수는 100만 주 라면 총 10억이라는 돈을 가지고 있는 게 됩니다. 여기서 합병되는 법인이 총 20억 원에 주가는 2000원이며 주식도 100만 주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여기서 앞서 말씀드린 1 : 10의 비율로 합병에서 스팩주의 경우에는 100만 주가 그대로 있습니다. 하지만 합병되는 법인은 주주들에게 가지고 있는 주식에 대해서 스팩회사 기준으로 1 : 10이니 10주씩을 주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합병되는 주식의 경우에는 법인 100만주 * 10주 = 1000만주에 스팩주 100만주가 더해져서 1100만 주가 됩니다.

 

자 이렇게 합병은 진행되고 스팩주를 가지고 있던 주주들의 경우에는 본래 가지고 있던 주식은 그대로 가지지만 합병비율에 따라서 값어치가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합병비율에 대해서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것입니다. 스팩쪽의 합병비율이 높아야 스팩주의 주주들에게 돌아오는 돈이 많기 때문입니다.

 

저도 스팩주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알아보고 이렇게 글을 쓰게 됐습니다. 스팩주가 올해 들어서 정말 말도 안 되게 많이 생겨났는데 현재 성장주의 힘이 빠지고 있는 만큼 스팩주의 시대가 끝나게 될지에 대한 우려가 많이 됩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성장주가 계속해서 잘 된다면 좋겠습니다.

728x90